유산균은 아직 소화 능력이 미숙한 아기들에게 소화력 증진과 장건강에 증진에 도움을 주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이 유산균 섭취를 놓고 엄마들의 고민이 앞서게 됩니다. 월령이 낮은 경우 아기들의 유산균 섭취는 엄마의 모유를 먹느냐 시중에 판매되는 분유를 먹느냐에 따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아기는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는 무균 상태이지만 출산 직후 엄마의 장내 세균을 이어가는 형태를 띠게 됩니다. 만약 엄마가 임신중에 유산균을 섭취한다면 아기의 장내 환경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아기들은 태어나 세상에 나오게 되면 생활 환경 속에서 입과 코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공기중에 있는 각종 세균들이 신체로 들어가서 이 균들에 의해 장내 환경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아기에게 유산균이 필요한 이유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이런 나쁜 세균들에 제대로 저항할 수 있도록 선인균(비피더스균, 유산균 등)을 장내 건강한 환경을 정착 시키게 하는 원리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모유를 먹는 아기
아기가 주식으로 모유를 섭취하고 있을 경우 엄마의 모유속에 있는 올리고당은 비피더스균의 먹이가 되는 '락토N비오스' 라는 당분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모유를 마시는 것만으로 락토N비오스가 아기에게 공급되어 아기의 장내 비피더스 균 증식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모유를 먹는 아기들의 장내 환경은 비피더스균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고 이로운 박테리아들의 활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별도의 유산균을 섭취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수유 기간에 엄마가 유산균을 섭취하게 되면 모유에 'TGF-B'라 불리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런 엄마의 모유를 마시는 아기들은 알레르기 질환 발병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GF-B는 면역 억제 작용을 가진 액성 인자로 알레르기 염증의 발병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엄마가 섭취하는 유산균이 단일 종류가 아닌 2개 이상의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엄마가 모유 수유를 한다면 여러 종류의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이 아기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분유를 먹는 경우, 유산균은 필수
시중에 판매되는 분유도 최근 품질이 매우 높아져 모유 기반 성분으로 생산되는 경우 많습니다만, 아무래도 모유의 영양성분과는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생체 방어에 중요한 성분인 단백질의 일종으로 '락토페린'을 전반적으로 함유되는 등 기능성 분유들도 많아 영양 공급에는 걱정이 없지만 모유보다 분유를 섭취할 때는 분유에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다고는 완벽한 역할을 기대하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인해 비피더스 균의 수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신생아 전용 유산균이나 올리고당 등이 들어있는 영양 보조 식품을 함께 섭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 시기의 아기들은 포도상구균이나 대장균 등으로 질병이나 감염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유 급여만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분유와 함께 추가적으로 신생아가 섭취가능한 유산균을 동시에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를 섭취하는 아기와 분유를 섭취하는 아기의 장내 세균 환경은 분명한 차이가 발생되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으며, 모유로 자란 아기의 장내 환경은 그렇지 못한 아기들과 차이가 발생시키며 장내 환경을 이루고 있는 세균의 90%를 비피더스 균이 차지할 정도로 유산균 분포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유는 엄마의 가슴에서 원할하게 잘나와야 아기들에게 먹일 수 있고, 이런 엄마의 의지와는 다르게 체력적 한계와 부담 등 엄마가 쉽게 바꿀 수 없는 육아 환경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만약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하게 되는 월령이라면 장내 세균의 균형이 바뀌게 되는데 더많은 각종 세균이 장내에서 늘어나게 됩니다. 이유식을 시작하는 시기인 생후 5개월령이나 생후 6개월령부터는 모유와 시판 우유에 관계없이 평소 주식 이외에 유산균이나 장내 유익균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양 보조제를 따로 섭취하여 장내 환경을 갖추어나가는 것이 아기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후 5개월 아기 최초의 이유식 재료, 바나나 (0) | 2017.03.22 |
---|---|
신생아부터 월령별 아기들의 수면시간에 대해서 (0) | 2017.03.20 |
아기 로타 바이러스의 증상과 치료, 예방 소독제 만들기 (0) | 2017.03.15 |
아기들의 기저귀 발진, 원인과 예방에 대해서 (1) | 2017.03.13 |
신생아 아기 분유량, 혼합 수유 시 급여량의 기준은? (1) | 2017.03.10 |
댓글